ubuntu
[Linux] 고정 IP 설정
✔ INTRO 최근 회사에서 Linux 서버를 신규 세팅해야 될 일이 많아졌다. 사내에서 고정 IP 정책을 가지고 있어 매번 세팅때마다 한번 정리해야지 하다가 이제야 작성해본다. ✔ Environment 세팅은 Ubuntu 22.04.1 LTS 버전에서 진행했다. ✔ Setting 🚩 인터페이스 이름 확인 고정 IP 설정을 위해서는 우선 설정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확인해야 한다. 내가 바꾸고 싶은 인터페이스는 eno1임으로 이를 잘 기억해야 한다. 서버마다 인터페이스의 이름이 다름으로 예시로 든 인터페이스 이름과 다를 수 있다. 🚩 고정 IP 설정 인터페이스 이름도 알았으니 이제 설정을 해보자. 고정 IP를 세팅하려면 네트워크 세팅 yaml을 수정해야 한다. 기존에는 그냥 텍스트 파일이었던거같은..
[Linux] Ubuntu 18.04 업데이트 서버 변경
ubuntu 서버를 관리하다 보면 업데이트 서버와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럴때, 국내 Ubuntu 업데이트 서버를 이용하면 되는데,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당 글에서는 카카오 서버(구 다음서버)로 변경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1. Ubuntu 업데이트 서버 확인 vim /etc/apt/sources.list 관리자 권한이 아닐 경우 sudo vim /etc/apt/sources.list 현재 http://archive.ubuntu.com/ubuntu로 설정되어 있다. 2. 국내 업데이트 서버로 변경 sources.list를 연 이후, : 를 눌러 명령어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 옆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s/archive.ubuntu.com/ftp.daumkakao.com 해당 ..
[Linux] Ubuntu 18.04 OpenSSH 설치 (+ sftp 사용)
1. OpenSSH-Server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y 2. 서비스 시작 sudo service ssh start 3. 포트 확인 sudo netstat -antp | grep ssh 4-1. [선택] Root 계정 ssh 허용 /etc/ssh/sshd_config 수정 vim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의 주석(#) 삭제 PermitRootLogin 뒤의 설정문을 yes로 수정 - 기존 문구 : without-password / prohibit-password / etc. 4-2. 서비스 재시작 sudo service ssh restart 5-1. sftp 사용 /etc/ssh/sshd_config 수정 vim /..